싱글 프롬프트 / 그룹 프롬프트
LLM을 이용하여 원하는 아웃풋을 만들고 액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프롬프트 관리가 필요합니다.
시작하려면 설정 페이지로 이동하여 프롬프트 관리 탭을 클릭합니다.
프롬프트는 ①싱글과 ②그룹 두개의 탭으로 분류됩니다.
싱글은 단일로 작동하는 프롬프트 / 그룹은 여러 프롬프트를 체인으로 엮어 함께 작동하도록 체이닝한 프롬프트를 뜻합니다.
먼저 싱글 프롬프트 관리 탭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현재 이용할 수 있는 프롬프트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프롬프트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1. 삭제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있는 프롬프트들은 디폴트로 제공되는 항목들이며 수정 편집만 가능합니다. - 작성한 프롬프트를 직접 수정, 편집할 수 있습니다.
- 프롬프트 이름 및 편집 버튼을 누르면 프롬프트의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싱글 프롬프트 상세 내용
- 지정한 프롬프트 이름이 표시됩니다.
- 프롬프트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기입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란입니다.
시스템 프롬프트는 LLM의 동작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LLM 모델에 페르소나를 부여하거나 대화 전반에 걸쳐 LLM 모델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해당 프롬프트를 통해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유저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란입니다.
유저 프롬프트에서는 LLM이 응답해야 할 요청이나 질문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유저 프롬프트에는 쿼리 및 질문을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동적 인풋에 활용될 값이 어떻게 지정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변수에서 값 할당하기’를 선택해서 대입될 값을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고, 미리 입력된 프롬프트의 경우, Alli 시스템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할당될 수도 있습니다. 동적 인풋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중괄호 ({})를 사용해야 하나 프롬프트 작성 시, 칩 형태로 하단에 표시되기 때문에 클릭을 통해 간단히 추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상기 화면과 같이 동적 인풋으로 등록된 변수들은 화면 상에서 ‘보라색으로 그렇지 않은 변수들은 ‘회색’으로 구분되어 표시됩니다.
동적 인풋 추가하기
동적 인풋이란 값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항목입니다. 동적 인풋에는 시스템과 스킬 2개의 옵션이 제공됩니다.
– 시스템 : Alli 시스템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할당되는 입력입니다. 미리 제공되는 기본 프롬프트의 경우에도 시스템 동적 인풋이 할당되어 있습니다.
– 스킬 : 스킬 내 ‘변수’를 지정해서 대입될 값을 입력할 수 있는 동적 인풋입니다. 유저는 스킬을 이용해 동적으로 변화하는 변수에 값을 대입할 수 있으며 유저의 상황과 니즈에 따라 다양한 값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 항목에서 동적 인풋명을 지정합니다.
- 사용할 변수 값을 할당합니다
- 토큰 자르기 ON/OFF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긴 토큰을 가진 변수의 경우 토큰 자르기 옵션을 ON으로 선택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제 그룹 프롬프트 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룹 프롬프트는 주로 답변 생성노드 및 지식베이스 > 문서 > Q&A 생성 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폴트로 제공되는 그룹 프롬프트는 1.삭제 및 2.편집이 불가능하며 3.복사 후 편집만 가능합니다.
4. 카테고리를 통해 GA(답변 생성노드)에 사용되는 프롬프트인지, Q&A 생성에 사용되는 프롬프트인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룹 프롬프트 상세 내용
- 지정한 그룹 프롬프트 이름이 표시됩니다.
- 그룹 프롬프트가 전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기입할 수 있습니다.
- 엮어 있는 프롬프트 일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펼치기 버튼을 누르면 싱글 프롬프트와 동일하게 프롬프트의 상세 내용이 표시됩니다.
완성된 GA 그룹 프롬프트는 답변 생성 노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스킬 및 모델에 따라 프롬프트를 다르게 구성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완성된 QA GEN 그룹 프롬프트는 지식베이스 > 문서 > Q&A 생성 탭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문서에 따라 프롬프트를 다르게 구성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